1. 개요 ✎ ⊖
외대부고 1학년 때 공통으로 배우는 수학과 교과이다.
2. 과목 ✎ ⊖
2.1. 수학(상) ✎ ⊖
2.2. 수학(하) ✎ ⊖
3. 시험 ✎ ⊖
3.1. 2024년 ✎ ⊖
수학(상) 중간고사: 작년에 비해서는 확연히 어려워진 문제 난이도
2023년 중간고사를 터무니없이 쉽게 낸 결과 교내 만점자가 50명을 훌쩍 상회하여 변별에 실패하였다. 그 결과 기말고사에서 손에 꼽히는 난이도로 출제하여 극심한 온도차이를 벌인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사전에 어려울 것이라는 공지가 나왔었고, 실제로도 어느정도 어렵게 나왔다.
시험지를 확인해 보면 대부분 학교 부교재에 실린 전국연합 모의고사 기출들을 숫자나 문제 스타일을 살짝 바꾼 형태로 대부분 나왔지만, 변형의 정도가 단순 숫자바꾸기가 아닌 문제의 아이디어만 차용한 다른 문제들을 만들어 놓기도 하였고, 16번대부터 꽤나 빡빡한 준킬러급의 문제들을 다수 포진시켜놓은 덕에 평균은 71점으로 집계되었다.
문항 분석
- 1번부터 11번까지는 부교재를 열심히 풀었다면 막히지 않고 순식간에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다.
12번: 부교재에도 없었던 학교 자작문항으로,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ㄱㄴㄷㄹ 합답형 문제였다. 사실 이 문제는 ㄷㄹ 보기가 너무나도개소리말이 안되는 선지라 이를 소거시켰었더라면 답을 바로 적어낼 수 있었던 문항이지만, ㄱ에서 a와 b가 복소수라는 조건을 파악하지 못해서(1) 틀린 학생들이 꽤나 있었다.
수학(상) 기말고사:
수학(하) 중간고사: 올해 가장 쉬웠던 시험
수학(하) 기말고사:
2023년 중간고사를 터무니없이 쉽게 낸 결과 교내 만점자가 50명을 훌쩍 상회하여 변별에 실패하였다. 그 결과 기말고사에서 손에 꼽히는 난이도로 출제하여 극심한 온도차이를 벌인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사전에 어려울 것이라는 공지가 나왔었고, 실제로도 어느정도 어렵게 나왔다.
시험지를 확인해 보면 대부분 학교 부교재에 실린 전국연합 모의고사 기출들을 숫자나 문제 스타일을 살짝 바꾼 형태로 대부분 나왔지만, 변형의 정도가 단순 숫자바꾸기가 아닌 문제의 아이디어만 차용한 다른 문제들을 만들어 놓기도 하였고, 16번대부터 꽤나 빡빡한 준킬러급의 문제들을 다수 포진시켜놓은 덕에 평균은 71점으로 집계되었다.
문항 분석
- 1번부터 11번까지는 부교재를 열심히 풀었다면 막히지 않고 순식간에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다.
12번: 부교재에도 없었던 학교 자작문항으로, 복소수와 이차방정식 ㄱㄴㄷㄹ 합답형 문제였다. 사실 이 문제는 ㄷㄹ 보기가 너무나도
수학(상) 기말고사:
수학(하) 중간고사: 올해 가장 쉬웠던 시험
수학(하) 기말고사:
(1) a와 b가 복소수일 경우, a=-1, b=i라는 가장 간단한 반례가 존재하여 바로 틀렸음을 알아낼 수 있다.